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선통신 초기 핸드폰 탄생 배경과 역사

by kind MacGyver 2023. 8. 7.

1.무선 통신의 초기:

 
*1895년 - 마르코니(Marconi)의 무선전신

무선통신의 최초 개발자로는 네덜란드의 발명가인 마르코니(후일의 시르 레오니)가 있습니다. 그는 무선 전신 시스템을 처음으로 개발하고 무선 전파를 사용하여 멀리 떨어진 장소로 신호를 전송하는 선구적인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마르코니는 무선전파 통신의 기본 원리를 연구하고 실험하였으며, 1895년에 최초로 무선 전신 시스템을 구현하여 무선 신호를 멀리 전송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1899년에는 삼파장 발신기와 수신기를 개발하여 무선전신의 상업적인 사용에 성공했습니다. 이후 1901년에는 대서양을 건너 무선전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영국과 캐나다 사이의 통신에 성공했습니다. 이 사건은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마르코니의 무선 전파 통신 기술은 이후 발전하여 라디오와 텔레비전, 스마트폰과 같은 현대의 무선 통신 기기들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그의 업적은 무선통신의 발전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무선통신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됩니다.이 사건은 무선 통신의 발전에 큰 도약을 의미하였고, 마르코니는 무선 통신의 아버지로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2.1920년대: 상업적 라디오 방송의 시작

 1906년 12월 24일 - 레지날드 피네이(Reginald Fessenden)

캐나다 태생의 레지날드 피네이는 1906년 12월 24일, 미국 메인주의 브랜던 유스타섬에서 최초로 오디오 신호를 라디오로 전송하여 크리스마스 이브를 기념하는 라디오 방송을 시행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음성이 최초로 라디오 파장을 통해 전송된 사례로서 상업적 라디오 방송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1920년 8월 27일 - KDKA 라디오
미국 피츠버그에 소속된 라디오 방송국인 KDKA가 1920년 8월 27일,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를 라디오로 전송하여 최초의 상업적 라디오 방송국으로서의 방송을 시작했습니다.
KDKA의 라디오 방송이 상업적으로 성공하면서 라디오 방송국의 확장과 보급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라디오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면서 라디오가 대중 문화와 정보 전달의 주요 매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상업적인 라디오 방송의 성공은 뒤이어 텔레비전과 인터넷과 같은 매체들의 등장과 연결되어 현대의 미디어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고 이러한 기술들이 통신의 이동성을 확장시켰습니다.


3.차량용 무선 전화:

최초로 차량용으로 사용되었던 무선 전화기는 1946년에 개발된 "모바일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서 차량에 장착되어 이동 중에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전화를 가능케 하였습니다.


모바일 시스템은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차량에 설치된 무선 전화기를 통해 라디오 기지국과 연결하여 통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당시 크기가 크고 무거웠으며, 주로 경찰차나 택시와 같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들에 설치되었습니다.
그 후, 1970년대에는 더욱 발전된 모바일 무선 전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1980년대에는 아날로그 모바일 전화 시스템이 상용화되었습니다. 이후 디지털 기술의 도입과 함께 현대적인 휴대전화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차량용 무선 전화기도 점차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에는 자동차에 내장된 통합 시스템이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전화와 연동하는 기능이 많이 탑재되어 있어 운전 중에도 안전하게 통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최초의 휴대전화:

마틴 쿠퍼(Martin Cooper)는 1970년대에 모토로라(Motorola)의 전기 공학자로서 최초의 휴대전화 개발에 참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술적 배경: 1970년대 초기, 무선 통신 기술은 라디오와 무선 전화 등으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의 무선 전화는 고정식이나 차량용으로 제한되어 이동성이 제한적이었습니다.
휴대성과 이동성의 아이디어: 마틴 쿠퍼는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개선하여 무선 전화를 개발하려는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고 이동성과 휴대성을 갖춘 개인용 무선 전화를 개발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최초의 휴대전화 제작: 1973년 4월 3일, 뉴욕의 미드타운 맨하탄에서 마틴 쿠퍼는 모토로라 DynaTAC(동적 주파수 액세스) 모델 8000X이라는 최초의 휴대전화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여 상용화되기 이전의 휴대 전화 통화를 시도했습니다.

*역사적인 통화: 마틴 쿠퍼는 당시의 경쟁사인 벨 시스템(Bell System)의 차량용 무선 전화 번호로 상대방에게 첫 번째 휴대 전화 통화를 걸었습니다. 이로서 최초의 휴대 전화 통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마틴 쿠퍼의 최초의 휴대전화 개발은 휴대전화 산업의 시작을 이끌었으며, 이후로 휴대전화는 점차 발전하고 현대 사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기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그의 기술적인 업적은 전화 통화 방식을 혁신시키고, 이동성과 휴대성을 향상시켰으며,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휴대전화와 GSM: 1990년대 초반에는 디지털 휴대전화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 표준이 등장했습니다. 디지털 기술은 더 나은 음질과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며, GSM은 휴대전화의 글로벌 표준화를 이끌었습니다.

앨런 키: 스마트폰 개념의 초기 형태를 제안한 한 명입니다. 1992년, 휴대전화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결합으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페너 (PenPad)'를 개발하였습니다.

제프 호킨스: 1993년, 스마트폰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 중 한 명으로 미래의 이동 전화가 컴퓨터와 통합될 수 있다는 개념을 주장했습니다.

에릭슨과 IBM: 1990년대 중반, 에릭슨과 IBM이 휴대전화와 PDA 기능을 결합한 디바이스들을 개발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모델들은 현재의 스마트폰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습니다.

5.스마트폰의 등장: 2000년대 초반에 스마트폰이 등장하였습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전화에 인터넷, 이메일, 앱 등의 기능을 추가하여 더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기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IBM 시몬 (IBM Simon): 1992년에 IBM이 개발한 "시몬 개인 통신기기"는 전화, 이메일, 주소록, 달력 등의 기능을 갖춘 최초의 장치로, 스마트폰의 원조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현재의 스마트폰과 비교하면 크기가 크고 무거웠으며, 일반 대중에게는 상용화되지는 않았습니다.

* 에릭슨 R380 (Ericsson R380): 2000년에 에릭슨(Ericsson)이 출시한 R380은 전화, 이메일, 웹 브라우징, 달력 등의 기능을 갖춘 장치로, 스마트폰의 개념을 더욱 발전시킨 모델 중 하나입니다.


* 블랙베리 (BlackBerry): 2000년대 초반에 카나다의 Research In Motion (RIM)이 개발한 블랙베리는 이메일 및 메시징 기능에 특화되어 있는 장치로, 비즈니스 및 전문용으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 아이폰 (iPhone): 2007년에 애플(Apple)이 처음으로 발표한 아이폰은 멀티터치 스크린과 앱 스토어 등을 갖춘 현대적인 스마트폰의 패러다임을 구축한 중요한 모델입니다. 아이폰의 출시로 스마트폰의 정의와 개념이 현대적인 형태로 정립되었습니다.


통신 기술과 이동성의 요구가 계속해서 발전하면서 핸드폰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스마트폰이 거의 모든 사람들의 소유물이 되었으며, 더욱 높은 기능과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초기의 스마트폰 모델들은 기술 빌전으로  사용자 요구의 변화에 따라 점차 발전하면서 현재의 다양한 스마트폰들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